블랙아웃땐 서울,수도권 등 밀집지역 가정부터 전기 끊는다

조회 1292 | 2013-06-05 23:45
http://www.momtoday.co.kr/board/13969
최근 원전 3기의 가동이 중단되면서 여름철 전력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냉방기 사용 등으로 인해 전력사용량이 급증해 전력이 모자라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강제 순환단전이 불가피해 진다. 순환단전 때 가장 먼저 전력이용에 제한을 받는 곳은 어디일까?
정답은 아파트와 주택 등 일반 가정용 전력이다. 복합다중시설이나 제조업 등 산업용 전력에 비해 순환단전 때 충격이 가장 덜 하다는 이유에서다. 병원이나 군대, 대중교통 등 공공시설에 대한 전력은 순환단전 대상에서 제외된다.
◆ 순환단전 1순위 아파트·주택, 2순위 백화점·대형마트, 3순위 기업체·공장
5일 한국전력공사(015760)와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전력수급 경보 5단계 가운데 가장 급박한 수준인 '심각' 경보가 발령되면 수도권과 광역시 등 인구밀집지역의 집단거주시설부터 순환단전에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력수급 경보 '심각'은 예비전력이 100만kW 미만으로 떨어진 후 약 20분 이상 지속되면 발령된다. 이 단계에 들어서면 전력당국은 사실상 권고에 의한 전력사용 감축이 힘들다고 판단하고 강제 순환단전을 시행한다.
한전이 내부적으로 마련해 시행 중인 '비공개 비상전력운영계획'에 따르면 '심각' 경보가 발령될 경우 1단계로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곳은 아파트와 빌라, 주택 등 일반 가정이다. 다음으로 순환단전 대상이 되는 곳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종합쇼핑몰 등 복합다중시설이다. 3단계 차단대상은 기업체와 대형빌딩, 공장 등 산업용 전력이다.
한전 관계자는 "순환단전 우선순위는 전력차단 때 국가적인 파장이 가장 적을 곳부터 고려해 포함된다"며 "전력을 차단해도 혼란이 비교적 덜 하고 경제적인 충격이 적은 아파트와 주택 등 가정용 전력과 소규모 상가 등이 최우선 단전 대상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동차와 IT, 철강 등 제조업 공장이 단전되면 천문학적인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 가장 마지막으로 단전에 들어간다"고 덧붙였다.
지역별 우선순위는 따로 운영계획에 포함돼 있지 않지만 주로 인구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순환단전에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력거래소가 실시간 전력수급 현황을 파악하며 한전에 시간당 50만kW씩 강제 순환단전 명령을 내리면 한전은 전력사용량 현황에 따라 인구가 밀집돼 있어 단전 때 가장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력공급량을 줄일 수 있는 지역을 우선 단전대상으로 삼는다. 이 경우 주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광역시가 우선순위에 들어간다. 복합다중시설이나 산업체 등은 따로 지역 우선순위가 적용되지 않는다.
순환단전 대상이 되면 사전에 전화나 휴대전화 문자 등을 통해 공지하고 TV와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해 이 사실을 알려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도 운영계획에 포함된다. 한전 관계자는 "지난 2011년 블랙아웃 당시에도 서울·수도권과 광역시의 아파트와 주택 등을 대상으로 가장 먼저 단전 조치가 시행됐고 실시간으로 대상 가정에 단전 사실을 공지했다"고 설명했다.
◆ 산업용 전력은 '준비' 단계부터 수요관리 대상 포함…업종별 절전 참여는 철강·제지가 가장 많아
전력당국은 기업체와 공장 등 산업용 전력의 경우 순환단전에서 가장 마지막 대상이 되지만 전력경보 초기 단계부터 절전을 통한 수요관리 대상에 포함되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 비해 특혜를 주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따르면 산업용 전력은 전력경보 1단계인 '준비(예비전력 400만kW 이상 500만kW 미만)' 단계부터 전력거래소의 '수요관리' 대상에 포함된다. 전력당국과 절전에 나서기로 사전약정을 맺은 기업들은 절전에 나서게 된다. '주의(예비전력 200만kW 이상 300만kW 미만)'나 '경계(예비전력100만kW 이상 200만kW 미만)' 단계에 들어가면 전력거래소는 '수요조절' 상황을 발령해 기업들은 긴급절전 대상에도 포함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 등의 절전 사전약정에 참여한 기업들은 주로 철강과 제지 업종에 속한 곳이 많다. 시멘트 업종도 상당수 기업들이 절전 약정에 참여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자동차나 반도체, IT 분야 기업들은 절전 사전약정에 참여한 곳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
한전 관계자는 "철강과 제지, 시멘트 등은 다른 업종에 비해 공정 가동을 조절해 전력사용량을 감축하는 것이 가장 쉬워 사전약정을 통한 절전 참여도가 가장 높다"며 "반면 자동차와 반도체 등은 공정 가동 중단이 어려워 절전에 거의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진상훈 기자 caesar8199@chosun.com]
전기세.가장.비싸게내는 일반가정부터 전기를 끊다니...ㅡㅡ;;;

이전.다음글